2020년 이월금 : 2021년에 새롭게 들어온 돈이 아니라 2020년에서 2021년으로 넘어오면서 한사성의 통장에 있던 돈을 말합니다.
수입지부 계 : 전기 자체 재정 이월금, 2020년 프로젝트 수입 이월금 계와 수입금액 계의 합산입니다.
세부내역
단위(원)
프로젝트 수입
348,346,000
▶ 오픈소사이어티파운데이션
228,346,000
▶ 사회복지공동모금회(2021)
120,000,000
프로젝트 수입 이월금(2020)
59,632,184
▶ 사회복지공동모금회(2020)
28,989,310
▶ 오픈소사이어티파운데이션
30,642,874
정기후원
88,962,816
일시후원
27,115,069
▶ 목적후원
2,700,000
▶ 비목적후원
24,415,069
특별후원(외부활동사례비)
47,613,796
목적사업이월금(2020)
9,646,440
▶ 피해지원기금
9,646,440
이자수입
223,470
잡이익
2,178,730
전기 자체 재정 이월금
174,963,786
2020 프로젝트 기금 이월금 계
69,278,624
수입금액 계
514,439,881
수입지부 계
758,682,291
지출 세부내역
지출설명
인건비 : 한사성은 프로젝트 사업으로 인건비를 충당하고 있는데요. 그 외의 퇴직적립금이나 미지급 활동비에 대한 인건비 지출입니다. 프로젝트 사업으로 충당되지 않은 인건비에 대해 운영비에서 지출이 있었습니다.
사회보험부담금 :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국민연금 4대 보험 비용입니다.
복리후생비 : 역량강화지원비, 소모품비, 경조사비 등에 대한 예산입니다.
관리비 : 사무실 월세나 관리비용입니다
사무비 : 구글 비즈니스 계정 사용료, 회계 결산을 위한 세무의뢰비용, 근태관리를 위한 노무의뢰 비용 등을 말합니다.
사무처 사업비 : 모금사업이나, 회원사업, 정기총회 등 각종의 사업을 진행할 때 쓰는 예산입니다.
프로젝트 사업비(OSF) : 오픈소사이어티파운데이션은 해외 재단에서 지원 받는 프로젝트 사업입니다. 우리는 이 지원금을 모두 인건비에 사용합니다. 약 5명의 인건비를 충당하였습니다.
프로젝트 사업비 2020(모금회) : 2019년 2월 1일부터 2021년 1월 31일까지 진행된 <사이버성폭력 피해지원 및 인식개선 사업> 지원사업입니다. 피해지원자를 지원하고 활동가 역량 강화 사업 등을 하였습니다. 활동가 2명에 대한 인건비도 지원 받았습니다.
프로젝트 사업비 2021(모금회) : <사이버성폭력 피해지원 강화 및 전국 네트워크 구축 사업> 2021년 10월 15일부터 2022년에 10월 14일까지 진행될 모금회의 지원 사업입니다. 역시 피해지원을 중심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으며, 총 5인에 대한 인건비도 충당합니다.
기타 : 목적/피해지원 사업비, 대외협력 사업비, 모금회 반납액(1차년도), 모금회 반납액(2차년도), 전월 4대보험 및 소득세 등 조정 등을 말합니다.
세부내역
단위(원)
인건비
21,658,685
▶ 급여(프로젝트 사업비 외)
36,496,790
▶ 미지급활동비(2인)
41,632,222
▶ 상여금
900,000
▶ 퇴직금
20,269,120
사회보험부담금
21,658,685
복리후생비
5,889,970
▶ 활동지원비
138,350
▶ 역량강화 지원비
2,509,520
▶ 문화의 날 지원비
517,380
▶ 소모품비
1,334,910
▶ 출장여비
38,700
▶ 경조사비
321,500
▶ 회식지원비
815,200
▶ 기타
214,410
관리비
24,807,980
▶ 사무실관리비
3,868,680
▶ 사무실임대료(월세)
16,420,000
▶ 기기운영관리비
813,800
▶ 사무실 이전비
3,643,000
▶ 주민세
62,500
▶ 기타
-
사무비
29,717,310
▶ 환경개선비(집기구입비 등)
2,992,470
▶ 통신전화료
2,903,230
▶ 세무/노무의뢰비
18,125,000
▶ 온라인서비스사용료
5,454,350
▶ 외부활동 지원비
95,460
▶ 기타(수수료 등)
146,800
사무처 사업비
5,529,794
▶ 미션비전수립 사업비
67,500
▶ 정기총회비
473,400
▶ 신년감사 선물비
145,500
▶ 상하반기 활동가 워크숍
732,830
▶ 집행위원회 워크숍
189,120
▶ 모금사업비
2,696,691
▶ 회원사업비
-
▶ 홍보 및 콘텐츠 제작비
-
▶ 플랫폼 대응 사업비
216,753
▶ 번역비
1,008,000
▶ 기타
-
목적/피해지원사업비
2,159,732
▶ 피해자 심리치료 및 법률지원
746,364
▶ 법률지원단 운영비
714,660
▶ 활동가 역량강화 및 소진예방 사업비
560,448
▶기타
138,260
대외협력 사업비
1,329,001
▶ 연대활동 사업비
699,001
▶ 국제연대활동 사업비
-
▶ 타단체 후원금
530,000
▶ 타단체 경조사비
100,000
▶ 기타
-
프로젝트사업비/오픈소사이어티파운데이션
125,781,005
▶ 인건비(급여)
125,781,005
프로젝트사업비/사회복지공동모금회(2020)
27,143,156
▶ 피해지원사업
23,276,490
▶ 인건비(2인 급여)
3,600,000
▶ 인건비(2인 퇴직적립금)
266,666
프로젝트사업비/사회복지공동모금회(2021)
31,435,130
▶ 피해지원사업
1,661,400
▶ 인건비(5인 급여)
29,773,730
▶ 활동가 역량강화 및 심리치료지원 사업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금 반납액(1차년도분)
4,000,000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금 반납액(2차년도분)
1,801,434
전월 4대보험 및 소득세 등 조정
3,011,246
지출지부계
377,540,083
차기이월금
차기이월금
359,644,700
차기이월금이란?
2021년 수입지부의 금액에서 2021년 지출지부의 금액을 뺀 것입니다. 2021년에 들어온 돈 대비 나간 돈에서 차기이월금이 3억 5천여만원 발생한 이유는 올해 진행될 사업비가 작년 말에 들어온 점, 자체 재정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 때문입니다.
첫째, 올해 진행될 두 개의 사업비가 작년 말에 들어왔는데요, 이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업(2021.10.15~2022.10.14)의 사업비 일부가 작년 말에 들어왔고, 올해의 오픈소사이어티 재단의 사업비 역시 작년 말에 들어와서 올해 지출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둘째, 현재 인건비의 대부분을 의존하고 있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업과 오픈소사이어티 재단 사업 기간이 끝나면 자체 재정으로 연간 약 3억여원의 인건비를 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후원금과 특별후원(외부활동사례비) 등을 통한 자체 재정으로 약 1억 4천여만원 정도를 지출계획을 세우지 않고 올해 이월금으로 남겨두었습니다.
수입 세부내역
◆ 위 그래프에는 **‘전기 자체 재정 이월금’**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수입설명
세부내역
단위(원)
지출 세부내역
지출설명
세부내역
단위(원)
차기이월금
차기이월금이란?
2021년 수입지부의 금액에서 2021년 지출지부의 금액을 뺀 것입니다. 2021년에 들어온 돈 대비 나간 돈에서 차기이월금이 3억 5천여만원 발생한 이유는 올해 진행될 사업비가 작년 말에 들어온 점, 자체 재정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 때문입니다.
첫째, 올해 진행될 두 개의 사업비가 작년 말에 들어왔는데요, 이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업(2021.10.15~2022.10.14)의 사업비 일부가 작년 말에 들어왔고, 올해의 오픈소사이어티 재단의 사업비 역시 작년 말에 들어와서 올해 지출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둘째, 현재 인건비의 대부분을 의존하고 있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업과 오픈소사이어티 재단 사업 기간이 끝나면 자체 재정으로 연간 약 3억여원의 인건비를 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후원금과 특별후원(외부활동사례비) 등을 통한 자체 재정으로 약 1억 4천여만원 정도를 지출계획을 세우지 않고 올해 이월금으로 남겨두었습니다.